2) 출력 양식의 편집
(2) scanf() 함수
• 형식 : scanf("입력 양식", & 변수 1, & 변수 2, ・・・);
• 사용 예 : scanf("%d", &a);
• 기능: 주어진 양식으로 자료를 입력받아 지정된 기억공간(변수)에 저장
scanf() 함수 - 키보드로부터 자료를 입력받을 때 사용되는 양식 지정 입력 함수.
scanf() 함수의 변환기호 - printf() 함수의 변환기호 사용. scanf() 함수의 입력 양식 - "%문자"만 사용. 모든 변수 앞에 주소를 의미하는 &(주소 연산자)를 붙임. but 문자열/ 배열명 앞 - & 생략.
8진수 자료의 입력 - %o
16진수 자료의 입력 - %x
2) 자료의 입력
scanf() 함수가 실행 후 화면에서 커서(cursor)가 깜박일 때 자료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름.
- 자료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자료 사이에 공백을 둠.
3.1.2 문자 단위의 입출력
(1) getchar() 함수
• 형식 : getchar();
• 사용 예 : a=getchar();
• 기능 : 한 문자를 키보드를 통해 입력받는다.
getchar() 함수 - 문자 단위의 입력함수. 하나의 문자를 키보드를 통해 받아들임. 이 문자를 저장하는 변수는 정수형이나 문자형으로 선언되어야 함.
getchar() 함수는 괄호 안에 인자를 지정하지 않음. 문자 입 력 후 엔터 키를 눌러야 자료가 입력.
(2) putchar() 함수
• 형식: putchar(문자);
• 사용 예 : putchar('A');
• 기능 : 한 문자를 화면에 출력한다.
putchar() 함수 - 문자 단위의 출력함수. 지정된 문자를 화면에 출력. 사용 형식에서 문자의 형태는 정수형 변수, 정수형 상수, 문자형 변수, 문자 및 수식이면 됨.
3.1.3 문자열 단위의 입출력
(1) gets() 함수
• 형식 : gets(변수);
• 사용 예 : chars[50]; gets(s);
• 기능 : 문자열을 키보드로부터 입력받는다.
gets() 함수 - 키보드로부터 문자열을 입력받아 변수가 가리키는 기억공간에 저장하는 문자열 입력함수. 변수는 배열명이나 포인터 변수.
입력받는 문자열 - 엔터 키 전까지 공백을 포함한 문자열. 엔터 키를 누르면 null 문자('\0')가 입력되어 문자열의 끝을 나타냄.
(2) puts() 함수
• 형식: puts(변수);
• 사용 예 : chars[ ]="seoul"; puts(s);
• 기능 :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한다.
puts() 함수 - 변수가 가리키는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는 문자열 출력함수. 문자열 출력 후 줄이 바뀜.
-이유: 문자열의 끝인 null 문자 ('\0')를 만나면 '\n'으로 바꾸어 출력하기 때문.
- 문자열을 출력할 때 개행문자인 \n'을 사용하지 않음.
'방송통신대학교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선택제어문과 반복제어문 (0) | 2023.06.11 |
---|---|
3.2 연산자 (0) | 2023.05.27 |
3. 입출력함수와 연산자 (1) | 2023.05.13 |
2.3 선행처리기 (0) | 2023.04.29 |
2.2.2 변수 선언 (0)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