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우드(cloud)= '구름'
- 컴퓨터 사용 방식의 근간을 뒤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
- IT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을 제공하는 핵심 기술이자 디지털 전환(DX) 시대에 가장 주목해야 하는 컴퓨팅 기술.
- IT 관련 기능들이 네트워크상에서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사용 스타일.
- IT 관련 기능 =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라이 브러리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적 · 소프트웨어적 IT 리소스(IT resource)까지 포함.
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상에서 IT 리소스를 서비스 형태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제조, 유통, 서비스, 게임,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1.1.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요
1.1.1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만큼의 IT 리소스를 필요 한 시간만큼 인터넷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컴퓨팅 방식.
- 존재하지만 실재하는 않는 것 같은, 그리고 형태와 성질을 쉽게 바꿀 수 있는 구름 (cloud)의 의미와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computing)의 의미가 결합되어 두 개의 특성을 모두 제공하는 형태의 컴퓨팅 개념.
- 클라우드 컴퓨팅은 1960년대 컴퓨터 사용의 초기부터 그 개념이 대두되기 시작한 후 2000년대부터 서비스의 형태로 구체화됨.
* 스탠포드 대학의 존 매카시(John McCarthy) 박사(1961) - "미래의 컴퓨팅 환경은 전화 시스템과 같은 공공 유틸리티 시설과 같이 구성될 것이다" 라고 예견한 유틸리티 컴퓨팅(utility computing)에서 시작.
* DARPA(고등방위연구계획국)의 ARPANET(1970)의 등장으로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은 컴퓨터 유틸리티 시대의 대중화 앞당김.
* 1980년대의 네트워크와 웹 기술의 발전으로 1990년도부터 야후, 알타비스타, 다음 등의 검색 엔진과 한메일, 지메일과 같은 웹 기반 이메일 서비스 등 컴퓨터상에서 실행되었던 유틸리티 프로그램이 차츰 웹상으로 이전되기 시작. ( 현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시초)
* 컴팩 컴퓨터사의 'Intemet Solution Division' 전략 보고서(1996)에서 처음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용어가 등장.
* 2000년 이후부터 서버의 유휴 리소스(idle resource) 활용을 통한 효율성 향상을 위해 연구되기 시작한 가상 화 기술들이 원격으로 프로비저닝(provisioning)되는 실험적인 서비스로 등장.
* 2002년 아마존(amazon.com)의 아마존 웹 서비스(AWS: Amazon Web Services)가 시작.
* 2006년까지 클라우드 컴퓨팅은 상업적 이용 사례 드믐.
* 2010년대부터 AWS의 EC2 S3, 그리고 구글의 구글 앱스(google apps)를 시작으로 웹 브라우저 에서 실행 가능하며 가용성이 향상된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제공되면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중화가 시작.
1.1.2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
클라우드 컴퓨팅 - 개인의 PC가 아닌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사업자(CSP Cloud Service Provider)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컴퓨팅 기술.
* 가장 유명한 정의 -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제시. NIST는 2011년에 개정된 정의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리소스(서버, 저장장치,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등)에 언제 어디서나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델이다. IT 리소스는 최소한의 관리로 신속하게 프로비저닝되고 배포될 수 있다. 클라우드 모델은 5가지의 기본 특성과 3가지의 서비스 모델, 4가지의 배포 모델로 이루어진다"라 함.
* 가트너사의 보고서 - "확장 가능 하고 탄력적인 IT 기능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외부 고객들에게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방식이다"라고 정의.
*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에 제정(2022년 개정된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 "클라우드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집적 · 공유된 정보통신기기, 정보통신설비, 소프트웨어 등 정보통신자원 (이하 "정보통신자원"이라 한다)을 이용자의 요구나 수요 변화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신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처리체계"라고 정의.
기업이 클라우드를 이용할 경우 - CSP의 데이터 센터 내의 시스템에서 처리.
- 데이터 센터(data center) - 기업의 컴퓨터, 네트워크, 스토리지, 그리고 비즈니스 운영을 지원하는 기타 IT 장비가 위치하는 중앙집중식 물리적 시설. 즉, 클라우드의 근본 개념은 IT 리소스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렌탈 서비스의 형태로 이용하는 모델. (IT 리소스 -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등 IT 관련 기술까지 포 괄.)
- 하드웨어(H/W): 물리 서버, CPU, 메모리, 네트워크 장비, 저장장치 등
- 소프트웨어(S/W): 운영체제, 플랫폼, 유틸리티, 애플리케이션, 그룹웨어 등
클라우드 사용자 - 인터넷에 접속한 후 웹 브라우저나 클라우드 서비스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
- 클라우드는 확장 가능하고 측정된 IT 리소스를 원격으로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설계된 IT 환경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IT의 모든 개념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음.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 - 개인의 자산을 펀드에 투자하는 것과 유사. 단순히 돈을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ATM,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자산을 입출금할 수 있어 개인의 사금고를 구입하여 직접 보관하는 것보다 편리함을 이용하는 것.
->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기업 또는 사용자가 정보 시스템을 구축 및 운용하는 과정은 펀드 투자와 매우 유사하게 데이터와 비즈니스로직(business logic), 즉 데이터 처리 방법 등 의 정보 자산을 기업의 서버에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우드 사업자에게 맡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
다양한 보안장치 및 장비가 운용되는 클라우드의 데이터 센터 - 안전함.
구체적인 처리 과정과 IT 리소스의 유지에 대한 부분은 사용자에게 안 보임.
직접 운영 및 유지보수하는 것보다 비용이나 편의성 면에서 나음.
기업은 업무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만 집중하고, IT 리소스 사용 에 따른 요금을 지불할 뿐 그 외의 모든 일은 CSP가 수행.
* 클라우드의 본질 - IT 리소스 사용에 필요한 구입, 설정, 연동, 운영 등의 과정을 캡슐화(encapsulation)하고 프로비저닝을 통한 IT 리소스의 서비스화라고 할 수 있음.
'방송통신대학교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온프로미스와 클라우드 (0) | 2023.11.05 |
---|---|
1.2. 클라우드의 등장 배경 (0) | 2023.10.29 |
3.4. 대기시간 (1) | 2023.10.08 |
1.4. 확률변수의 발생 (0) | 2023.10.01 |
1.2. 결정적 시뮬레이션 (0)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