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과학개론_이관용, 정광식16 2.2.2 1차원 배열 - 가장 간단한 형태의 배열. 1개의 첨자를 사용해 원소에 접근. C언어의 1차원 배열은 A[u]로 선언.(0 ~ u-1) -> u개의 자료 저장 가능. 배열의 원소(데이터)들은 컴퓨터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할당되고 연속적으로 저장. A[0] ←a A[1] ←a+k A[i] ←a+i×k A[u] ←a+u×k 2.2.3 다차원 배열 2차원 배열 - 1차원 배열을 여러 개 모아놓은 형태의 배열.(바둑판 모양) 2차원 배열에서 하나의 원소는 2개의 첨자와의 쌍으로 구분. 2개 이상의 첨자가 필요한 배열을 총칭-다차원 배열. 첨자 - 행(row), 첨자 j로 나타내는 것- 열(column) A[i][j] = A[행][열] 2차원배열도 컴퓨터에 저장될 때는 컴퓨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 2차원 배열은 원소를 컴.. 2022. 9. 25. 2. 자료구조 2.1 기본 개념 2.1.1 자료구조의 개념 - 자료를 컴퓨터나 프로그램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자료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잘 구조화된 형태로 정의해야 하며, 이를 표현하기 위해 자료의 추상화가 필요함. 추상화를 통해 자료의 논리적 관계를 구조화한 것이 자료구조임. * 추상화 - 공통적인 개념을 이용해 같은 종류의 다양한 객체를 정의하는 것. 예) 버스(고속버스, 마을버스, 시내버스), 지하철 노선도 * 데이터의 추상화 - 다양한 객체를 컴퓨터에서 표현하고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구조(관계)에 대해 공통의 특징만 뽑아 정의한 것. * 자료 구조의 형태: 미리 정의된 자료구조 VS 사용자 정의 자료구조 - 미리 정의된 자료구조: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나 컴파일러 구현 단계에서 정의되어 개발자에.. 2022. 9. 17. 1.3.4. 실수 표현 - 실수는 부동소수점 방식을 사용하여 표현. 따라서 정수보다 복잡함. - 정수에서는 소수점이 항상 오른쪽 끝에 있다고 가정하지만, 실수에서는 소수점의 위치가 필요에 따라 움직임. - 숫자를 과학적 표기법으로 바꿔서 표현하면 일정한 비트로 큰 수와 작은 수 모두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음. * 부동소수점 방식: (-1)ˢ 𐄂 M 𐄂 Bᴱ와 같이 유효숫자를 사용한 형태. S: 0보다 큰지 작은지 나타내는 부호 M: 가수 B: 기저 E: 지수 부호(1비트) 지수(m비트) 가수(n비트) 양수0 음수1 E+매직넘버(127, 128)-> 2진수로 변경 1을 제외한 소수점 부분 - 컴퓨터는 2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동소수점 표시 방식의 기저는 2로 고정. - 부호는 0또는 1을 사용해 1비.. 2022. 9. 10. 1.3.3 정수 표현 정수 - 소수점 이하의 값을 갖지 않는 수로 무한대이지만 컴퓨터에서는 할당된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만큼만 표현 가능. (1) 부호 없는 정수 부호(+,-)를 표시하는 비트값이 없음. 양의 정수만 표시 가능 범위 - 0부터 (2^n)-1까지. 8비트=(0~255) 16비트=(0~65535) 할당된 비트 이상의 값= 오버플로(overflow) ° 275(8베로 표시 불가 9피트 필요) (2) 부호 있는 정수 +,- 부호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 할당된 비트 중에서 최상위 1비트는 부호 비트로 사용하고 나머지 비트는 주어진 정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 0=양의 정수 1=음의 정수 양의 정수의 경우 부호 없는 정수를 나타낼 때는 단순히 2진수로 변환하면 되지만 음의 정수의 경우 3가지 방법이 있다. ① 부호화.. 2022. 9. 3. 이전 1 2 3 4 다음